성장일기

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공부기록

Queue 2

[백준] 10845 : 큐 (Queue와 ArrayDeque) - JAVA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5 10845번: 큐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www.acmicpc.net #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Data Structure] CHAP 7. Linked List based Stack & Queue ( 연결리스트로 스택,큐 구현) - C언어 ver.

저번 챕터에서 했던 연결리스트에 이어 이번 챕터에서는 연결 리스트를 이용해 스택과 큐를 구현하는 것을 기록하려고 한다. 배운거 + 배운거 = 쉬운거 일 줄 알았으나.. 아니었던 거😂 이번 챕터에서는 아래 순서로 작성할 예정이다. 연결리스트로 스택 구현하기 연결리스트로 큐 구현하기 그럼 시작-!! 1. 연결리스트로 스택 구현하기 배운지 오래돼서 리마인드를 해주자면, 스택은 후입선출구조 즉 push와 pop이 top에서만 이루어지는 자료구조이다. 위 사진에서 t는 top을 가리키며, push,pop 모두 t에서 일어난다. 1-1. push 구현 push는 새 요소를 넣는 것을 말한다. 위 linked list에 black이라는 요소를 넣는다고 가정하자. 먼저 black이라는 새 노드를 생성한다. 그 후 이 ..

자료구조 2023.07.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