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챕터에서 했던 스택과 큐 구현에 이어, 이번 챕터에서는 다항식을 연결리스트로 구현하는 방법을 작성할 예정이다. 작성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할 것이다. 왜 연결리스트( linked list )로 구현할까? 구현방법과 소스코드 그럼 스타-트! 1. 왜 연결리스트로 구현할까? 다항식은 말 그대로 여러개의 단항식이 연결된 구조를 띈다. 이러한 다항식의 특성상 항의 개수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미리 크기를 정해둬야하는 배열은 효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배열보다는 linked list로 짜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 2. linked list를 이용한 다항식 구현방법 구현방법을 보이기 위해 c = a + b 를 예시로 보여주려고 한다. 이때, a = 6x^6 + 2x^3 + 2 , b = 2x^6 + 7x^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