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일기

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공부기록

재귀 5

[백준] 2533: 사회망 서비스 (DP, DFS, 트리) - JAVA

class 6https://www.acmicpc.net/problem/2533   # 문제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과 같은 사회망 서비스(SNS)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사회망을 통하여 사람들이 어떻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게 되는가를 이해하는 문제가 중요해졌다. 사회망에서 사람들의 친구 관계는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는데,  이 그래프에서 사람은 정점으로 표현되고, 두 정점을 잇는 에지는 두 정점으로 표현되는 두 사람이 서로 친구 관계임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철수와 영희, 철수와 만수, 영희와 순희가 서로 친구 관계라면 이를 표현하는 친구 관계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친구 관계 그래프를 이용하면 사회망 서비스에서 어떤 새로운 아이디어가 전파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어떤 새로..

[백준] 2239: 스도쿠 (dfs) - JAVA

class 5https://www.acmicpc.net/problem/2239   # 문제스도쿠는 매우 간단한 숫자 퍼즐이다. 9×9 크기의 보드가 있을 때, 각 행과 각 열, 그리고 9개의 3×3 크기의 보드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중복 없이 나타나도록 보드를 채우면 된다. 예를 들어 다음을 보자.위 그림은 참 잘도 스도쿠 퍼즐을 푼 경우이다. 각 행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중복 없이 나오고, 각 열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중복 없이 나오고, 각 3×3짜리 사각형(9개이며, 위에서 색깔로 표시되었다)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중복 없이 나오기 때문이다.하다 만 스도쿠 퍼즐이 주어졌을 때, 마저 끝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예제입력 :  9개의 줄에 9개의 숫자로 보드가 입력된다. 아직 숫..

[백준] 1629: 곱셈 (재귀, 모듈러성질) - JAVA

class4https://www.acmicpc.net/problem/1629    # 문제자연수 A를 B번 곱한 수를 알고 싶다. 단 구하려는 수가 매우 커질 수 있으므로 이를 C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예제입력 :  첫째 줄에 A, B, C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A, B, C는 모두 2,147,483,647 이하의 자연수이다.10 11 12 출력 :  첫째 줄에 A를 B번 곱한 수를 C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4 # 필요개념문제를 봤을 때 간단한데 ? 생각했다가 제한시간이 0.5초인 것을 보고 쉽진 않겠다는 생각을 했다. 단순히 Math.pow() 함수를 사용하면 시간초과가 발생한다. pow를 사용하면 최악의 경우 n = 21억이 되므로 O(n) 시간복..

[백준] 1463 : 1로 만들기 - DP 다시보기

백준 알고리즘 분류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DP)) https://www.acmicpc.net/problem/1463 1463번: 1로 만들기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 문제 정수 X에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이다. X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3으로 나눈다. X가 2로 나누어 떨어지면, 2로 나눈다. 1을 뺀다.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위와 같은 연산 세 개를 적절히 사용해서 1을 만들려고 한다. 연산을 사용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하시오. # 예제 입력 :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10 출력 : 10의 경우에 10 → 9 → 3 → 1 로 3번..

[Data Structure] CHAP 9. Recursion (재귀) - C언어 ver.

이번 챕터에서는 recursion 재귀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자료구조론에서 중요하게 다루게 될 tree가 재귀로 구현되기 때문에 잘 알아둬야한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재귀함수로 코드 짜는 방법 binary recursion (이진재귀) 그럼 시쟉🌟 1. Recursion (재귀) 1-1. 재귀함수란? 재귀는 자체 코드 내에 자기자신을 불러오는 것을 의미한다. 재귀의 예시로 팩토리얼(!)을 들 수 있는데, 재귀함수를 이용한 팩토리얼은 다음과 같다. 위 사진을 보면, n! 안에 (n-1)! 즉 팩토리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n에 4를 대입하면 4 x 3! 이 되고 3!은 3 x 2! 을 불러오는 과정을 반복하여 결국 n = 0이 되어 함수를 불러오는 과정이 종료된다. 이후에는 ..

자료구조 2023.08.28
728x90